• 관리
  • 글쓰기
  • 로그인
  • 로그아웃

본구래정보세상

  • 홈
  • 태그
  • 방명록
  • 아롱이 다롱이 뜻 한 어미 자식도 아롱이다롱이 뜻 고르지는 못하지만 비슷비슷하게 아롱진 무늬나 모양 또는 그런 무늬나 모양이 있는 물건을 '아롱이 다롱이'라고 하는데요, 우리 속담에는 '한 어미 자식도 아롱이다롱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럼 '아롱이 다롱이 뜻'과 '한 어미 자식도 아롱이다롱이 뜻'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아롱이 다롱이 뜻꼭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게 아롱진 무늬나 모양 또는 그런 무늬나 모양이 있는 물건을 뜻합니다.  2. 아롱이 다롱이 품사품사는 명사입니다. (따라서 '아롱이다롱이'와 같이 붙여 적어도 됨) 3. 아롱이 다롱이 예문① 한 어미의 자식도 아롱이다롱이라고 그들 자매는 느낌이 비슷하면서도 다른 면이 많다. ② 아이들이 접은 학은 크기가 달라 아롱이 다롱이 같았지만 정성만큼은 정말 돋보였다. ③ 한 어미의 .. 일반상식 2024. 5. 3.
  • 일 벌이다 벌리다 차이 발음이 비슷해서 그 의미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중에 '벌이다 벌리다'가 있는데요, '일 벌이다'가 맞을까요? '일 벌리다'가 맞을까요? '일 벌이다 벌리다 차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일 벌이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 일 벌이다 (O)- 일 벌리다 (X)   '벌이다'는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거나, 여러가지 물건을 늘어놓거나, 가게를 차리거나, 잔치 등을 하거나, 말다툼을 하는 것을 뜻하므로, '일 벌이다'가 바른 표현인 것입니다. '벌리다'는 두 물체의 사이를 넓히거나 멀어지게 하거나, 껍질 등을 열어 젖혀서 속에 있는 것을 밖으로 드러나게 하거나, 쭈그러진 것을 펴는 것을 뜻합니다.  ①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다.(예) 그는 마침내 계획했던 일을 벌이게 되었다.(예) 나는 돌잔.. 바른용어 2024. 5. 2.
  • 한배를 탔다 고사성어 한배를 탔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는 무엇일까요? 한배를 탔다 고사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오월동주'입니다. 오월동주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으로, 원수지간이라도 같은 처지에 놓이면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입니다.  ※ 오월동주(吳越同舟)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으로, 원수지간일지라도 같은 처지에 놓이면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 (예) 그들은 서로 정치적 입장이 달랐지만 이익을 위해 오월동주를 하기도 했다. (예) 우리가 비록 앙숙지간이지만 기왕 같은 처지가 되었는데 오월동주하는게 어떨까?  오월동주(吳越同舟)의 개별 한자 뜻은 '오(吳 : 오나라 오), 월(越 : 월나라 월), 동(同 : 한가지 동), 주(舟 : 배 주)'입니다.  '.. 성어속담 2024. 5. 1.
  • 오뎅꿈 오뎅 꿈해몽 오뎅 먹는 꿈 받는꿈 오뎅삶는꿈 주는꿈 꿈속의 오뎅은 소망, 만남, 행복, 이득 등을 상징하는데요, 혹시 오뎅꿈을 꾸신 적이 있습니까? 오뎅꿈은 어떤 의미로 해몽될까요? 오뎅꿈, 오뎅 먹는 꿈, 오뎅삶는꿈, 오뎅주는꿈, 오뎅받는꿈을 비롯한 오뎅 꿈해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오뎅 먹는 꿈평소 하고 싶었던 일을 하거나, 작은 소망을 이룰 길몽입니다. 가령 먹고 싶은 음식을 실컷 먹거나, 소지하고 싶었던 물건을 보유하거나, 지인과 다정한 술자리를 갖을 것입니다. 만약 학생이라면 용돈이 생길 징조입니다. 2. 오뎅받는꿈뜻밖의 용돈이나 선물을 받을 징조입니다.   3. 오뎅삶는꿈적은 금액을 투자하여 큰 이득을 챙기거나, 소규모로 시작한 일이 크게 번창할 징조입니다.  4. 오뎅주는꿈값싼 선물로 남들의 마음을 사로잡거나, 대인관계가 좋아질 징조.. 음식관련꿈 2024. 4. 30.
  • 동거동락 뜻 동고동락 뜻 우리는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할 때 '동거동락' 또는 '동고동락'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동거동락'과 '동고동락'은 어떤 뜻일까요? 동거동락 뜻 동고동락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한다는 뜻입니다. 즉, 괴로울 때나 즐거울 때나 늘 함께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동거동락'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한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동고동락'이기 때문입니다.  ① 동고동락(同苦同樂) (O)'괴로울 때나 즐거울 때나 항상 함께함'을 뜻하는 말로 올바른 표현입니다. ② 동거동락 (X)'동고동락'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한문으로는 同苦同樂(동고동락)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同 : 같을 동) (苦 : 괴로울 고) (同 : 같을 동) (樂 : 즐거울 락)입니다.. 바른용어 2024. 4. 29.
  •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 사자성어 우리 속담에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말이 있는데요,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뭘까요.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십벌지목'입니다. 십벌지목은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가 없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 십벌지목(十伐之木)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가 없다. (속담)  ① 마부작침(磨斧作針)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을 뜻함. ② 마부위침(磨斧爲針)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을 뜻함.   ③ 백절불굴(百折不屈)수없이 많이 꺾여도 굴하지 않고 이겨 나감을 뜻함. ④ 산류천석(山溜穿石)산에서 흐르.. 성어속담 2024. 4. 28.
  • 희한한 희안한 맞춤법 우리가 자주 쓰는 말 중에 '희한한'과 '희안한'이 있는데요, 희한한 희안한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희한한 희안한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희한한'이 바른 표현입니다. - 희안한 (X)- 희한한 (O)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는 의미를 지닌 말은 '희한하다'입니다. 따라서 '희한한'이 바른 표현이고 '희안한'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 희한하다.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 (예) 요즘은 희한한 일이 많이 일어난다. (O)(예) 요즘은 희안한 일이 많이 일어난다. (X) (예) 어저께 정말 희한한 일을 경험했다. (O)(예) 어저께 정말 희안한 일을 경험했다. (X) (예) 지구상에는 희한한 일도 많이 생긴다. (O)(예) 지구상에는 희안한 일도 많이 생긴다. (X) .. 바른용어 2024. 4. 27.
  • 추진중 띄어쓰기 '추진중'은 '추진 중'과 같이 띄어 써야 할까요? '추진중'과 같이 붙여 써야 할까요? 추진중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추진 중'과 띄어 써야 합니다. - 추진 중 (O)- 추진중 (X)   '추진중'에서 '추진(推進)'은 명사이고, '중(中)은 의존명사이므로 '추진 중'과 같이 띄어 써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1장 제2항에서는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한글맞춤법 제5장 제2절 제42항에서는 '의존명사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추진'과 '중'은 '추진 중'과 같이 띄어 써야 합니다.   ※ 추진 중.목표를 항하여 밀고 나가는 동안.  (예) 나는 새로운 일을 추진 중에 있다. (O)(예) 나는 새로운 일을.. 띄어쓰기 2024. 4. 26.
  • 막상막하 비슷한 말 막상막하 사자성어 '막상막하'는 '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인데요, 막상막하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성어들이 있을까요? 막상막하 비슷한 말, 즉, 막상막하와 비슷한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막상막하(莫上莫下)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  1. 난백난중(難伯難仲)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말로, 우열을 가리기가 힘들 정도로 서로 비슷하다는 뜻. 2. 난형난제(難兄難弟)누구를 형이라고 하기도 어렵고 아우라고 하기도 어렵다는 말로, 서로 비슷비슷해서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는 뜻.  3. 대동소이(大同小異)대개는 같고 차이가 거의 없다는 말로, 두 가지 이상의 대상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 4. 백중지세(伯仲之勢)힘이나 능력 등이 서로.. 성어속담 2024. 4. 25.
  • 병 높임말 병 낮춤말 상식 '병(질병)을 높여서 부르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또 '병(질병)을 낮추어 부르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병 높임말, 병 낮춤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급환(急患)위급한 병환. ② 병환(病患)병(질병)의 높임말. ③ 신양(身恙)몸에 생긴 병.  ④ 예후(睿候)왕세자의 병환을 이르던 말. ⑤ 친환(親患)부모님의 병환. ⑥ 환후(患候)웃어른의 병을 높여 이르는 말.  ① 부신지우(負薪之憂)병이 들어 땔나무를 질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② 부신(負薪)병이 들어서 나무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부신지우'의 준말) ③ 채신지우(採薪之憂)병이 들어서 나무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이상으로 .. 일반상식 2024. 4. 24.
이전 1 ··· 16 17 18 19 다음
TOP

방문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본구래정보세상

티스토리툴바